Warning: file_get_contents(/var/www/html/data/cache/URI/4.9.3,934e9c5ea1427f374d724fff88c244f85fc0cfc7,1.ser): failed to open stream: Permission denied in /var/www/html/plugin/htmlpurifier/HTMLPurifier.standalone.php on line 15531

보건당국의 달라지는 말바꾸기<1>

페이지 정보

권병찬 작성일15-06-06 19:55 조회1,424회 댓글0건

본문

 

보건당국의 달라지는 말바꾸기<1>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밀접 접촉만시설 오염 전파, “1시간 이상 접촉30분 만에 


메르스확산 진원지인 평택성모병원의 실제 환경이 당초 정부가 고수한 매뉴얼과 크게 달랐던 것으로 드러났다. 병원 시설물이 바이러스에 오염됐던 것으로 확인되면서 최초 환자가 퇴원한 후 이 병원을 방문한 지역사회 주민에게서도 메르스 감염 환자가 나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는 상황이다. 정부가 사태 초기 내놓은 매뉴얼과 말들이 뿌리째 흔들리면서 바이러스 확산과 방역체계의 불신을 자초한 셈이다.

34981689a52fd554ce5de2ed113a69235b15d.jpg  


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은 5일 정부세종청사에서 한 언론브리핑에서 평택성모병원이 다른 병원들에 비해 원내 접촉자가 높은 감염력을 보이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병원 이름을 공개하고 위험 시기에 이 병원을 방문한 모든 분들의 신고를 접수해서 위험 증상 여부를 확인하겠다고 밝혔다. 


전날까지 병원명 미공개 원칙을 강조했던 정부가 하루아침에 태도를 바꾼 것은 이 병원의 환경이 일반적인 메르스 감염 경로와 사뭇 다른 것으로 확인됐기 때문이다. 사태 초기 정부는 비말(직경 5이하의 작은 침방울)이 반경 2m 이상을 벗어날 수 없다며 최초 환자의 2m 이내 밀접 접촉자들을 격리관찰자로 분류했다. 중동 지역에서 메르스는 비말을 통해 감염되고 있다. 


그러나 민관 종합대응 태스크포스(TF)가 최초 환자가 입원한 병실을 조사한 결과 이 병실은 환기구·배기구가 없고 에어컨만 있는 특이한 구조였다. 전문가들이 병실 5곳에서 에어컨 필터를 꺼내 조사한 결과 필터 3개에서 메르스를 일으키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RNA가 검출됐다. 조사에 참여한 최보율 한양대 교수는 상당 기간 폐쇄된 공간에서는 비말이 축적돼 있다가 병실 문이 열려 공기가 들어올 때 퍼져나갈 가능성이 있다에어컨 필터도 공기를 빨아들이기 때문에 병실 내 바이러스가 그쪽에 축적될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최 교수는 메르스가 비말이 아니라 공기 중으로 전파된다는 증거는 아직 나오지 않았다고 덧붙였다. 


메르스 환자와 1시간 이상 접촉해야 감염된다는 정부 매뉴얼도 국내 상황에선 통하지 않았다. 지난달 27일 서울 D병원 응급실에서 의사인 35번 환자가 환자들을 30~40분 진료하다가 옆 병상에 누워 있던 14번 환자에게 감염된 게 대표적이다. 


사태가 매뉴얼과 다르게 전개되자 문 장관은 뒤늦게 병원 이름을 공개하면서 떨어진 진주목걸이를 다 줍는다고 해도 혹시 (진주알) 한두 개가 빠질 수도 있다“(감염 위험자를) 다 못 찾을 수도 있기 때문에 (515~29일 방문객 중) 개연성이 있으신 분들은 신고해달라고 말했다. 사태 초기 개미 한 마리도 지나치지 않는다는 자세로 대응하겠다고 했던 것과 달라진 태도다. 


정부가 이제야 평택성모병원 이름을 공개한 것을 두고도 감염병 확산의 주요 병원만큼은 진작 알렸어야 한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정부는 당초 미국도 지역이나 병원 이름을 구체적으로 공개하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미국 보건당국은 주요 전염병 사례가 확인될 경우 병원 이름이나 지역을 공개하고 있다 


보건당국의 의사감염 치명적 거짓말 의혹 


보건당국의 치명적인 중요 의문점은 14번째 감염자가 처음 서울의 대형병원을 찾은 건 지난달 27일이었다. 의사와 환자 등 3차 감염자는 같은 날, 응급실에서 감염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옆 병상의 환자를 진료했던 의사는 지난달 31일 밤 격리됐고, 그다음 날인 61일 확진 판정을 받았다. 그런데 보건 당국은 사흘이 지나서야 이 의사의 확진을 발표했다. 메르스 확산의 매우 중요한 고비가 됐던 시점에 보건당국이 왜 확진 발표를 미뤘을까서울 대형병원의 의사가 최종 확진 판정을 받았다고 보건당국이 공식 발표한 것은 4일이다.

[권준욱/보건복지부 공공보건정책관(4) : 일부러 지연시키거나 그런 것은 전혀 아니고. 이것은 재검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해서 다시 한 번 검사가 진행된 것.]  


4일밤 서울시는 기자회견을 열고 해당 의사가 감염된 상태에서 15백 명 이상과 직, 간접적으로 접촉했다고 밝혔다. 또 당국이 발표하기 사흘 전 이미 확진 판정이 나왔다고 전했다. 그러자 당국은 말을 바꿨다. 지난 1일 확진이 됐지만, 정책적인 판단으로 발표를 미뤘다고 해명했다.

[오늘 : 정책적으로 일단 재검사 없이 (메르스) 양성자로 확인하는 게 맞겠다는 판단하에 최종적으로 64일에 발표를 (했습니다.)]

4182fe50fa8c7d35c94bbba78b3c0ed35b15d.jpg 

 


그동안 보건당국은 감염이 확진되면 곧바로 발표해왔다. 이례적으로 발표를 늦춘 점에서 특정 병원 봐주기가 아니냐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해당 의사는 의심 환자와 접촉했다는 것을 지난달 31일 오전까진 전혀 몰랐다고 주장했다. 


[대형병원 의사/메르스 감염 : (5) 31일까지는 메르스 환자와 접촉한 사실을 몰랐습니다. 감염을 일으킬 수 있는 증세가 나타난 이후로는 한 번도 안 움직였어요. 다른 사람을 만난 적도 없고요.] 


이 의사는 확진 판정이 난 다음 날인 2일 국가지정격리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고 있다.

  --(계속)---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